■ 전기 ■

2. 전기설비설계 / 1-5. 지중전선로의 시설

말마 2024. 1. 11. 21:13
반응형

목록
0. 문제출제여부
1. 지중전선로의 시설
2. 가공전선로와 비교한 지중전선로의
      장점과 단점을 쓰세요

3. 지중 전선로는 어떤 방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하는지 쓰세오

4. 지중 전선로의 전선으로는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가 쓰세오

5. 특고압용 지중전선에 사용하는
     케이블의 종류를 쓰세요

6. 지중전선로의 지중함 설치 시
    설치기준은 쓰세요
7. 참고
 

반응형

 
0. 문제출제여부
 가) 어떤 방식 및 케이블이 아주 가끔 나와요
 나) 특고압케이블이 아주 가끔 나와요
 다) 지중함 설치기준은 아주 가끔 나와요(3~4개)
 라) 그 외에는 참고용이에요

1. 지중전선로의 시설
 - 지중전선로는 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고,
   직접매설식, 관로식,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해야 한다
 
 가) 직접매설식에 의하여 시설 매설깊이를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
      1.0m 이상, 기타 장소에는 0.6m 이상으로 하고
      또한 지중 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
      시설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지 아니하여도 된다.
    1.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을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에 그 위를
        견고한 판 또는 몰드로 덮어 시설하는 경우
     2. 저압 또는 고압의 지중전선에 콤바인덕트 케이블
         또는 규정에서 정하는 구조로 개장(鍇裝)한 
         케이블을 사용하여 시설하는 경우
     3. 특고압 지중전선은 “규정에서 정하는 개장한
         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견고한 판 또는 몰드로 
         지중 전선의 위와 옆을 덮어 시설하는 경우
     4. 지중 전선에 파이프형 압력케이블을 사용하거나
         최대사용전압이 60 kV를 초과하는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케이블 그 밖의 금속피복을 한
         특고압케이블을 사용하고 또한 지중 전선의 위를 
         견고한 판 또는 몰드 등으로 덮어 시설하는 경우


 나)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매설 깊이를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줄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다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0.6m 이상으로 한다
 
     1. 콘크리트 보강관로

     2. 일반관로

일반 관로


 다) 암거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1. 구형 전력구

      2. 터널형 전력구

      3. 덕트형

2. 가공전선로와 비교한 지중전선로의
     장점과 단점을 쓰세요

 가) 장점
    1. 미관 깨끗하다
    2. 공급 신뢰도 우수하다
    3. 자연환경에 영향이 적다
    4. 동일루트 다회선 가능, 도심지역 적합
    5. 지하 시설로 인하여 설비 보안 유지 용이
    6. 차폐케이블 사용으로 유도장해 경감
    7. 충전부 절연으로 안정성 확보
 나) 단점
    1. 건설비 비싸다
    2. 건설기간 길다
    3. 고장복구 및 고장점 탐색이 어렵다
    4. 신규 수용가 탄력성이 결여된다
    5. 송전효율이 낮다
 
3. 지중 전선로는 어떤 방식에 의하여
     시설하여야 하는지 쓰세오

 가) 직접매설식
 나) 관로식
 다) 암거식
 
4. 지중 전선로의 전선으로는
     어떤 것을 사용해야 하는가 쓰세오

 가) 케이블
 
5. 특고압용 지중전선에 사용하는
     케이블의 종류를 쓰세요

 가) 파이프형 압력케이블
 나) 연피케이블
 다) 알루미늄피케이블
 
6. 지중전선로의 지중함 설치 시
    설치기준은 쓰세요
 가) 지중함은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일 것.
 나)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다) 폭발성 또는 연소성의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것에 시설하는 지중함으로써 그 크기가
       1㎥ 이상인 것에는 통풍장치 기타 가스를
       방산시키기 위한 적당한 장치를 시설할 것.
 라) 지중함의 뚜껑은 시설자 이외의 자가
       쉽게 열 수 없도록 시설할 것.
 마) 지중함의 뚜껑은 KS D 4040에 적합하여야 하며,
       저압지중함의 경우에는 절연성능이 있는
       고무판을 주철(강) 재의 뚜껑 아래에 설치할 것.
 바) 차도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저압 지중함은
       절연성능이 있는 재질의 뚜껑을 사용할 수 있다.

7. 참고
 가) 저압케이블
       0.6/1kv 연피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무기물 절연케이블, 금속외장케이블,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외장케이블,
       300/500v 연질 비닐시스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고압케이블
       연피케이블, 알루미늄케이블, 클로로프렌외장케이블,
       비닐외장케이블, 폴리에틸렌외장케이블,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외장케이블, 콤바인 덕트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특고압케이블
       절연체가 에틸렌 프로필렌고무혼합물 or      
       가교폴리에틸렌 혼합물인 케이블로서 선심 위에
       금속제의 전기적 차폐층을 설치한 것이거나 파이프형
       압력케이블, 연피케이블, 알루미늄피케이블 그 밖의
       금속피복을 한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 지중함의 시설
    1. 지중함은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구조일 것.
    2.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
    3. 폭발성 또는 연소성의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것에 시설하는 지중함으로써 그 크기가
        1㎥ 이상인 것에는 통풍장치 기타 가스를
        방산시키기 위한 적당한 장치를 시설할 것.
    4. 지중함의 뚜껑은 시설자 이외의 자가
        쉽게 열 수 없도록 시설할 것.
    5. 지중함의 뚜껑은 KS D 4040에 적합하여야 하며,
        저압지중함의 경우에는 절연성능이 있는
        고무판을 주철(강) 재의 뚜껑 아래에 설치할 것.
    6. 차도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는 저압 지중함은
        절연성능이 있는 재질의 뚜껑을 사용할 수 있다.
 
 마) 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의 접지
    1. 관・암거 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는 금속체에는 접지시스템의 규정에 준하여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