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의 책임은 온전히 본인의 몫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에요 -
목차
0. 결과
1. 사견
2. 수요예측 결과
3. 청약일정상세
4. 주요 매출현황
가) 글로벌 전자현미경(SEM, TEM) 시장규모 및 전망
나) 국내 전자현미경(SEM, TEM) 시장규모 및 전망
다) 전자현미경 -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 비교
가) 현미경 기술에서 배율과 속도의 관계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7. 요약 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2. 영업이익
나) 재무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2. 부채비율
3. 차입금 의존도
0. 결과
- 0~1주 받을 거 같아요
- 0주 받았습니다
1. 사견
-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 매출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청약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 경쟁률은 좋은 거 같고, 청약 흐름은 식고 있어요
- 비례청약은 하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 장외시장 24년 02월 08일 기준
(매수 33,500 ~ 39,000원 / 매도 39,000 ~ 48,000원)

2. 수요예측 결과
- 건수(2,022건)는 좋은 거 같고
경쟁률(1,267,60)은 좋은 거 같다고 생각해요
(허수 청약이 없어져서 경쟁률 기준치가 달라졌어요)

3. 청약일정상세
- 주관사 : 키움
- 청약일 : 02월 13일(화) ~ 02월 14일(수)
- 상장일 : 02월 23일(금)
- 균등배정물량 - 최소 청약금액 :
키움 75,000주- 10주 기준(80,000원)
- 청약수수료 :
키움 : 0원
- 계좌 : 청약 당일 비대면 개설 가능
- 공모 후 유통물량 예정치 : 199만 주(35.89%)
- 예상 시총 : 679억
- 참고 : 비대면 계좌개설 20일 제한
(20일 제한 없는 곳과 있는 곳이 있으므로,
연속 계좌 개설 시 없는 곳부터 개설하세요)
- 참고 : 만약에 걸리시면 연계은행이 존재하니
20일 제한을 피해서 개설하세요
4. 주요 매출현황
가) 글로벌 전자현미경(SEM, TEM) 시장규모 및 전망

나) 국내 전자현미경(SEM, TEM) 시장규모 및 전망

다) 전자현미경 - 주사전자현미경(SEM)과 투과전자현미경(TEM) 비교

라) 현미경 기술에서 배율과 속도의 관계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 과반수 이상 밴드가 상단(14,000원)을 써냈어요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 의무확약이 좋지 않아요(8.02%)

7. 요약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경영실적 및
재무상태 관련 관리종목 지정 사유
1) 매출액
가. 최근 년 30억 원 미만 (지주회 사는 연결기준)
나. 기술성장기업은 상장 후 5년간 미적용
2)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가. 자기 자본 50% 이상(&10억 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 최근연도계속사업손실)
나. 기술성장기업은 상장 후 3년간 미적용
3) 자본잠식/자기 자본
가. 사업연도(반기)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주 1)
나. 사업연도(반기) 말 자기 자본 10억 원 미만
다. 반기보고서 제출기한 경과 후 10일 내
반기검토(감사) 보고서 미제출 or 검토(감사) 의견
부적정ㆍ의견거절ㆍ범위제한 한정
주 1) 상기 관리종목 지정사유는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와 관련된 지정사유만 기재한 것입니다.
주 2)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기 자본) ÷ 자본금 × 100(%)

1. 매출
- 매출은 2020년 87억 원, 2021년 95억 원,
2022년 125억 원, 2023년 3분기 89억,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2020년 3억 원, 2021년 2억 원,
2022년 18억 원, 2023년 3분기 5억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재무안정성 지표
- 유동비율 = 당기말 유동자산 / 당기말 유동부채
1. 유동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
즉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여신 취급 시 수신자의 단기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은행가비율(Banker's ratio)이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부채비율 = 당기말 총부채 / 당기말 자기 자본
1. 타인자본과 자기 자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지표로서 일반적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은 여신자 측에서
채권회수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것이며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단기적 채무변제의
압박을 받지 않는 한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존도 = (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부채)
/ 당기말 총자본
1. 총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 총 차입금 = 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당좌비율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1. 당좌비율은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당좌자산은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현금, 예금과 같이 단기간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을 뜻합니다. 따라서 당좌비율은 회사의
단기유동성을 나타내며 가장 유동적인 자산으로
단기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회사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유동비율
- 유동비율은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172.12%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434.40%,
2021년 627.69%, 2022년 544.37%,
2023년 3분기 498.285%로
유동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부채비율
- 부채비율은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94.35%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40.16%,
2021년 27.76%, 2022년 31.18%,
2023년 3분기 28.98%로 나타내며,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3.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의존도는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28.94%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0%, 2021년 0%,
2022년 3.20%, 2023년 3분기 2.91%를
나타내며, 차입금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하기와 좋아요는 제작에 큰 힘이 돼요
매일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광고 클릭은 더 큰 힘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