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의 책임은 온전히 본인의 몫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에요 -
목차
0. 결과
1. 사견
2. 수요예측 결과
3. 청약일정상세
4. 주요 매출현황
가) 연도별/제품별 매출액 구성 및 비율
나) 향후 글로벌 전기차(BEV) 판매량 전망
다) 주요 국가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관련 정책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7. 요약 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2. 영업이익
나) 재무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2. 부채비율
3. 차입금 의존도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9. 이닉스 다트
10. 주요 용어 설명
0. 결과
- 1~2주 받을 거 같아요
- 1주 2만 9천원 수익 얻었습니다
1. 사견
-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 매출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영업이익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청약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 경쟁률은 좋은 거 같고, 청약 흐름은 좋아요
- 비례청약은 하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 장외시장 24년 01월 20일 기준
(매수 10,000 ~ 13,000원 / 매도 15,000원)

2. 수요예측 결과
- 건수(1,950건)는 좋은 거 같고
경쟁률(670.60)은 좋은 거 같다고 생각해요
(허수 청약이 없어져서 경쟁률 기준치가 달라졌어요)

3. 청약일정상세
- 주관사 : 삼성
- 청약일 : 01월 23일(화) ~ 01월 24일(수)
- 상장일 : 02월 01일(목)
- 균등배정물량 - 최소 청약금액 :
심성 375,000주- 10주 기준(140,000원)
- 청약수수료 :
삼성 : 2,000원
- 계좌 : 청약 당일 비대면 개설 가능
- 공모 후 유통물량 예정치 : 285만 주(31.42%)
- 예상 시총 : 1,270억
- 참고 : 비대면 계좌개설 20일 제한
(20일 제한 없는 곳과 있는 곳이 있으므로,
연속 계좌 개설 시 없는 곳부터 개설하세요)
- 참고 : 만약에 걸리시면 연계은행이 존재하니
20일 제한을 피해서 개설하세요
4. 주요 매출현황
가) 연도별/제품별 매출액 구성 및 비율

나) 향후 글로벌 전기차(BEV) 판매량 전망

다) 주요 국가별 내연기관 자동차 판매 관련 정책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 과반수 이상 밴드가 상단(11,000원)을 써냈어요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 의무확약이 나쁘지 않아요(33.89%)

7. 요약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상 경영실적 및
재무상태 관련 관리종목 지정 사유
1) 매출액
가. 최근 년 30억 원 미만 (지주회 사는 연결기준)
나. 기술성장기업은 상장 후 5년간 미적용
2) 법인세비용차감전 계속사업손실
가. 자기 자본 50% 이상(&10억 원 이상)의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 최근연도계속사업손실)
나. 기술성장기업은 상장 후 3년간 미적용
3) 자본잠식/자기 자본
가. 사업연도(반기) 말 자본잠식률 50% 이상 (주 1)
나. 사업연도(반기) 말 자기 자본 10억 원 미만
다. 반기보고서 제출기한 경과 후 10일 내
반기검토(감사) 보고서 미제출 or 검토(감사) 의견
부적정ㆍ의견거절ㆍ범위제한 한정
주 1) 상기 관리종목 지정사유는 경영성과 및
재무상태와 관련된 지정사유만 기재한 것입니다.
주 2) 자본잠식률 =
(자본금 - 자기 자본) ÷ 자본금 × 100(%)

1. 매출
- 매출은 2020년 829억 원, 2021년 992억 원,
2022년 1,143억 원, 2023년 3분기 934억,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2020년 44억 원, 2021년 99억 원,
2022년 94억 원, 2023년 3분기 79억으로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재무안정성 지표
- 유동비율 = 당기말 유동자산 / 당기말 유동부채
1. 유동비율은 유동부채에 대한 유동자산의 비율,
즉 단기채무에 충당할 수 있는 유동성 자산이
얼마나 되는가를 나타내는 비율로서,
여신 취급 시 수신자의 단기지급능력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이용되어
은행가비율(Banker's ratio)이라고도 합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부채비율 = 당기말 총부채 / 당기말 자기 자본
1. 타인자본과 자기 자본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재무구조지표로서 일반적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재무구조가 건전하다고
판단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입장은 여신자 측에서
채권회수의 안정성만을 고려한 것이며
기업경영의 측면에서는 단기적 채무변제의
압박을 받지 않는 한 투자수익률이
이자율을 상회하면 타인자본을 계속
이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차입금의존도 = (단기차입금 + 유동성장기부채)
/ 당기말 총자본
1. 총자본 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 비중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은 기업일수록 금융비용
부담이 가중되어 수익성이 저하되고
안정성도 낮아지게 됩니다.
- 총 차입금 = 단기차입금+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 이자보상배율 = 영업이익 / 이자비용
- 당좌비율 = (유동자산 - 재고자산) / 유동부채
1. 당좌비율은 당좌자산을 유동부채로 나눈 비율로
당좌자산은 유동자산에서 재고자산을 제외한
현금, 예금과 같이 단기간에 환금할 수 있는
자산을 뜻합니다. 따라서 당좌비율은 회사의
단기유동성을 나타내며 가장 유동적인 자산으로
단기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회사의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단기지급능력은 양호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유동비율
- 유동비율은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124.94%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651.60%,
2021년 593.67%, 2022년 455.77%,
2023년 3분기 435.05%로
유동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2. 부채비율
- 부채비율은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101.58%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13.07%,
2021년 15.03%, 2022년 17.00%,
2023년 3분기 18.77%로 나타내며, 부채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의존도는 2022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22.29%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1.59%, 2021년 1.35%,
2022년 3.52%, 2023년 3분기 5.80%를
나타내며, 차입금 의존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9. 이닉스 다트

1) 스웰링(Sweling) 현상
전기차 충·방전 시, 배터리셀의 온도 상승과
셀의 팽창 및 수축이 동시에 일어나며,
셀 부피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하는 현상

10. 주요 용어 설명
가) 에너지 저장소 (Energy Storage System, ESS)
에너지 저장 체계(ESS, Energy Storage System)
는 에너지를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체계를 지칭함. 스마트 그리드의
구성체계로서 태양광 발전을 포함한 신재생
에너지를 활성화함에 있어 전력 소비 주체도
전력 생산자의 역할을 가능케 하는
전력 저장 기술
나) 순수전기자동차 (Battery Electric Vehicle, BEV)
HEV(Hybrid Electric Vehicle)나
PHEV(Plug-in HEV)와 같이 주행상황에 따라
연료와 전기를 조합하는 등 일부는 기존의 엔진과
연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순수하게 2차 전지
또는 배터리의 전기만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자동차.
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Plug-in Hybrid EV, PHEV)
배터리가 외부 충전기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충전될 수도 있으며 내부적인 내연기관으로부터의
에너지로도 충전될 수 있는 자동차.
라) 운모 (Mica)
알루미나 실리케이트가 주성분인 광물의 한 종류.
내화성능이 주 특징
마) Anti-Fire Fabric, AFF
내화 소재중 하나로 전기자동차의
열폭주(Thermal Propagation)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소재 중의 하나
바) 배터리 셀 (Cell)
파우치 배터리 형태의 가장 작은 단위.
낱개의 배터리를 뜻함
사) 배터리 모듈 (Module)
다수의 셀이 모여 하나의 모듈을 완성함.
두 번째 배터리 단위
아) 배터리 팩 (Pack)
다수의 모듈을 모아 차 하부에 들어가는
전체 배터리 시스템을 뜻함
자) 압출반발력 (CFD)
면압패드에 누르는 압력을 가했을 때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
차) Cathode (양극)
방전 시 리튬 이온이 전자를 받아
환원되는 전극
카) Anode (음극)
방전 시 리튬 이온이 전자를 방출해
산화되는 전극
타) 전해액 (Electrolyte)
양극, 음극의 전기화학반응이 원활하도록
리튬 이온의 이동이 일어나게 하는 매개체
파) 분리막 (Separator)
양극, 음극의 전기적 단락 방지를
위한 격리막
하) 배터리 케이스 (Case)
전지 구성 요소를 보호하고 있는 외장재
(각형, 원통형, 파우치 형)
거) CKD
Complete Knock Down의 약자로
반조립제품을 말한다.
부품들을 그대로 수출해서 목적지에서
조립되어 완성품으로 판매되는 방식
너) 내마모성
마찰에도 닳지 아니하고 잘 견디는 성질
더) 내화학성
물질이 화학적 물질이나 처리에 견디는 정도.
화학반응이 일어나려는 정도를 반응속도로
나눈 값. 외관, 크기, 기계적 성질의
변화 따위에 따라 평가됨
러) 최대 압축률
외력증가에도 불구하고 더 이상 면압패드가
압축되지 않을 때의 압축률
머) 면압 (Reaction Force)
배터리 모듈 내에서 가해지는 힘의
반발력으로서 배터리 셀의 본방에
가해지는 우력
버) 복원율 (Recovery)
면압패드에 외력을 가했다가 해제했을 때의
두께와 외력을 가하기 전의 두께의 비율.
즉 원 상태로 돌아가는 힘
서) 열폭주 (Thermal Runaway)
온도 변화가 그 온도 변화를 더욱 가속시키는
방향으로 서로 작용하여 전기자동차의 배터리
내에서 화재를 일으키는 요인
어) Thermal Runaway Barrier (TRB)
전기자동차 배터리 시스템 내의 열폭주 현상을
저지시키기 위한 방어막. 현재 정부들의 규제로
화재 발생 시로부터 탑승자가 탈출하기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화두 되고 있는
방법 및 소재
저) EPDM (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유용성과 내구성이 뛰어난 특징으로 대부분의
패킹이나 씰링 작업에서 쓰이는 합성고무 소재
처) NVH (Noise, Vibration, Harshness)
자동차 내에서 승객이 느끼는 소음, 떨림 등을
지칭하는 용어로 예측하지 못하는 소음 및 불편을
느끼게 하는 요소들과 탑승자가 예상할 수 있는
소음을 얼마나 감소시키는가에 대한 이슈를 지칭함
커)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자동차 ‘OEM’ 사라고도하며 당사의 경우
현대자동차의 OEM사인 현대모비스가
주 고객사로 있음

찾아와 주셔서 감사합니다
구독하기와 좋아요는 제작에 큰 힘이 돼요
매일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광고 클릭은 더 큰 힘이 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