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주 ■/공모주

[에이엘티] 청약 : 07월 17일(월) ~ 18일(화) / 상장일 : 07월 27일(목)[공모주]

말마 2023. 7. 15. 22:41
반응형

투자의 책임은 온전히 본인의 몫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에요 -

 
목차
0. 결과
1. 사견
2. 수요예측 결과
3. 청약일정상세
4. 주요 매출현황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7. 요약 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2. 영업이익

  3. 참고

나) 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2. 부채비율

  3. 차입금 의존도

  4. 참고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가) 토지

 나) 설비

10. 장

0. 결과
-  어제 균등 0.6 이였는데 아쉽게도 실패했네요


1. 사견

-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 매출은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청약을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흐름과 수요예측결과는 좋은데 말이에요)

2. 수요예측 결과 
  - 경쟁률이 좋다고 생각해요(1,835.71)      

3. 청약일정상세
  - 주관사 : 미래에셋증권
  - 청약일 : 07월 17일(월) ~ 07월 18일(화)
  - 상장일 : 07월 27일(목)
  - 최소 청약금액 : 10주 기준(125,000원)
  - 균등배정물량 : 112,500주
  - 청약수수료 : 2,000원
  - 계좌 : 청약 당일 비대면 개설 가능
  - 공모 후 유통물량 예정치 : 387만 주(45.7%)
  - 예상 시총 : 2,122억
  - 참고 : 비대면 계좌개설 20일 제한
              (20일 제한 없는 곳과 있는 곳이 있으므로,
                연속 계좌 개설 시 없는 곳부터 개설하세요)

  - 참고 : 만약에 걸리시면 연계은행이 존재하니 20일
                  제한을 피해서 개설하세요

 

4. 주요 매출현황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 과반수 이상 밴드 상단을 써냈어요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 의무확약이 좋지 않아요(16.07%)

7. 요약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 매출2021년 418억 원, 2022년도 443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매출의 성장세는 반도체 시장의 성장에 기인한 것으로 모든 테스트 사업분야에 걸쳐 매출의 성장세가 나타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웨이퍼 테스트 분야에서 도드라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2021년의 경우 글로벌 경제를 위협한 COVID-19의 대유행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였으며 신규 COG 및 Rim Cut 사업을 통한 매출이 새롭게 발생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23년 1분기 매출은 142억 원으로 2023년에도 이러한 신규사업의 확장 등에 힘입어 매출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영업이익
   - 영업이익2021년 56억 원에서 2022년 80억 원으로 성장했습니다. 매출원가 구조상 인건비 및 감가상각비 등 고정적인 성격의 비용 항목이 전체 매출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매출이 성장할수록 원가율이 감소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2022년 및 2023년 1분기 매출원가율은 각각 72.1%, 62.2%로 감소하였습니다.
 
  3. 참고
 
국내의 주요 종합반도체 업체인 A사, B사 등과의 전략적 협업을 통하여 고가의 반도체 테스트 장비를 매년 투자하여 지속적으로 반도체 테스트 매출을 성장시켜 왔습니다. 한편, 비메모리반도체 테스트 부분에 사업영역을 국한하지 않고 향후 반도체산업의 발전에 발맞춰 비메모리반도체 후공정의 일부 Turnkey 사업영역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웨이퍼를 적정한 두께로 Sawing 하여 규격화된 트레이에 담는 사업 COG(Chip on glass) 사업, 초박막 타이코 웨이퍼를 Rim Cut 하고 Sawing 하는 사업 Rim Cut 사업, CIS의 양품 칩 제품을 성능별로 선별하여 재배치하는 Reconstruction 사업 등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매출 및 이익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 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 유동비율은 2020년 19.70%에서 2021년 57.20%로 개선되었으나, 2022년 21.54% 및 2023년 1분기 26.45%로 감소하였습니다. 2020년의 경우, 전환사채 유동성분류에 따른 영향으로, 2021년 전환사채 130억 원이 보통주로 전환되며 유동비율은 증가하였습니다. 2022년의 경우, 당사가 추가적인 테스트 및 신사업 수행 능력 확보를 위해 증설한 대규모 설비 관련하여 증가한 약 338억 원의 미지급금 영향으로 유동비율이 줄어들었습니다. 해당 미지급금의 경우, 2023년 중 모두 해소될 예정이기에 당사의 유동비율은 2021년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보이며 단기간 내 발생할 수 있는 유동성 위험은 낮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부채비율
   - 부채비율2020년 311.63%로 업종 평균 대비 높은 수준이었으나, 2021년 101.85%, 2022년 165.14%, 2023년 1분기 157.42%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2020년 당시 존재하던 전환사채가 2021년 보통주로 전환되며 부채가 큰 폭으로 줄어들었으며 우선주의 이익소각을 통해 부채는 감소하는 동시에 자본은 증가하며 부채비율이 떨어졌습니다. 2022년의 경우 설비 투자와 관련된 미지급금이 급증하여 부채비율이 다소 올랐으나 2023년 내 미지급금이 지급될 예정인 바, 부채비율은 다시 하락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3.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의존도는 2020년 61.97%, 2021년 44.95%, 2022년 40.08%, 2023년 1분기 47.94%이며 업종평균 차입금의존도는 17.81%로 업종평균에 비해 차입금의존도가 다소 높은 편이나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특히 2021년 중 전환사채의 보통주 전환으로 인하여 2021년 차입부채의 감소로 차입금의존도가 개선되었습니다. 추후 발생하는 이익으로 차입금을 상환하여 점차 차입금의존도를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참고

   - 반도체 테스트 사업은 특성상 지속적인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부채비율 및 차입금 의존도가 높은 편입니다. 당사의 2023년 1분기말 기준 부채비율은 157.42%이며, 당사의 실적 및 영업현금흐름 등을 고려하였을 때 재무안정성 관련 위험성은 높지 않은 편이라 판단됩니다
   - 테스트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최신의 설비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차입금을 활용하여 다수의 유형자산을 지속적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에 사업의 성격상 당사의 재무안정성 비율은 다소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견고한 영업실적을 기반으로 재무 안정성 비율이 점차 개선될 것으로 보이며 2023년 중 미지급금의 지급 및 상장 이후 전환사채의 전환을 통해 관련 비율이 점차 양호한 수준으로 회복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단위 : 백만 원)   

 가) 토지

 나) 설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