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모주 ■/공모주

[큐리옥스바이오시스템즈] 청약 :08월 01일(화) ~ 02일(수) / 상장일 : 08월 10일(목)[공모주]

말마 2023. 7. 30. 19:18
반응형

투자의 책임은 온전히 본인의 몫이며,
투자를 권유하는 글이 아니에요 -

 
목차
0. 결과
1. 사견
2. 수요예측 결과
3. 청약일정상세(기술성장특례)
4. 주요 매출현황
 가) 제품별 매출 금액 및 비중
 나) 주요 매출처별 매출 현황 및 비중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7. 요약 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2. 영업이익
나) 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2. 부채비율
  3. 차입금 의존도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0. 결과
 - 미청약입니다

1. 사견
  -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해주세요
  - 매출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 청약을 안 해야 된다고 생각해요
    (스펙은 살아있는데
      일반 공모주는 다소 주춤한 거 같아요)

  - 비례청약은 안 하시는 게 좋을 거 같아요
  - 장외시장 23년 07월 30일 기준
    (매수 17,000원 ~ 25,000원 / 매도 0원)


 
2. 수요예측 결과 
    - 경쟁률이 안 좋다고 생각해요(191.61)   


3. 청약일정상세(기술성장특례)
  - 주관사 : 키움증권
  - 청약일 : 08월 01일(화) ~ 08월 02일(수)
  - 상장일 : 08월 10일(목)
  - 최소 청약금액 : 20주 기준(130,000원)
  - 균등배정물량 : 175,000주
  - 청약수수료 : 2,000원(면제)
  - 계좌 : 청약 당일 개설 가능
  - 공모 후 유통물량 예정치 : 299만 주(37.4%)
  - 예상 시총 : 1,041억
  - 참고 : 비대면 계좌개설 20일 제한
              (20일 제한 없는 곳과 있는 곳이 있으므로,
              연속 계좌 개설 시 없는 곳부터 개설하세요)

  - 참고 : 만약에 걸리시면 연계은행이 존재하니
               20일 제한을 피해서 개설하세요

 

4. 주요 매출현황
 가) 제품별 매출 금액 및 비중

 
 나) 주요 매출처별 매출 현황 및 비중

  - 다수의 거래업체로 구성됨에 따라 특정 매출처의 사업환경 변화, 고객 내부의 의사결정 등이 회사의 매출 등 영업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높지 않습니다. 다만, 주된 매출처들은 기업규모가 큰 다수의 글로벌 대형 제약사 및 바이오텍이므로 판매단가 협상 열위에 있을 수 있고, 향후 매출채권 회수 조건 등에 불리한 상황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회사에 대한 매출 집중도가 낮기 때문에 매출처 편중위험은 낮으나, 안정적인 매출창출의 어려움에 따른 매출의 변동성이 높을 수 있어요. 2022년 기준 주요 매출처 및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5.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 과반수 이상 밴드 하단을 써냈어요

 
6. 의무보유 확약기간별 수요예측 참여 내역
  - 의무확약이 좋지 않아요(2.6%)

 
7. 요약재무제표
 가) 성장성 지표

  1. 매출
   - 매출은 2020년 247억 원, 2021년 319억 원, 2022년 418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위사업의 특성상 해외 수출이 확정되기까지 오랜 기간이 걸리는 점과 타 국가의 방산기업과의 치열한 수주 경쟁 등으로 국내 무기체계 업체들의 신규 수주 증가추세가 정체될 경우 높은 매출 성장성을 지속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영업이익
   - 영업이익은 2020년 22억 원, 2021년 35억 원, 2022년  37원, 2023년도 1분기 15억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안정성 지표

  1. 유동비율
   - 유동비율은 2021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47.6% 대비 낮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44.8%, 2021년 47.6%, 2022년 389.4%, 2023년 1분기 328.8%로 유동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였습니다.

  2. 부채비율
   - 부채비율은 2021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897.6% 대비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20년 139.3%, 2021년 897.6%, 2022년 10.9%, 2023년 1분기 10.1%로 나타내며, 부채비율이 21년도부터 증가하다 22년도부터 감소하고 있습니다.
   - 2022년 11월에 모든 RCPS(전환상환우선주)가 보통주로 전환되며 재무안정성이 개선되었습니다.
   - 리스회계처리로 인한 금융비용 중 일부가 이자비용으로 인식되고 있지만,  외부차입 등에 의한 부채는 아님에 따라 부채리스크는 낮은 편입니다.
 
  3. 차입금 의존도
   - 차입금 의존도는 2021년까지 기준 업종평균인 0% 대비 낮은 수준을 보여요
     (자기 자본이 많다는 뜻도 돼요)
   - 운영 자금의 부족 또는 시설 투자를 위해 외부로부터 자금을 조달하는 돈은 없어요
 

8. 공모자금 세부 사용 계획 

 

 

반응형